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K 하이닉스
    Stock & Asset 2013. 4. 27. 00:59
    반응형

    내가 SK하이닉스 주식을 샀을때 주가가 23000~25000원을 횡보하는 수준이었다.


    당시 SK하이닉스, LG 디스플레이, 고영 


    IT주식중에서 이 세가지를 주의 깊게 보고 있었다.


    아마 매입하지 않고 3~5개월 이상 관망만 했었던 것 같다.


    LG디스플레이와, 하이닉스 둘다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르거나 떨어지지 않고 박스권에서 몇년재 횡보하는 모습이 차트로 볼 수 있었다.


    그러던 중에 학교에서 취업지원팀에서 개최한 기획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었고,


    나는 요즘 기업에서 혁신,역발상,등의 가치를 중시하는 이유에 대해서 발표를 준비하게 되었다.


    그렇다며 어떻게 해야겠는가?


    혁신,역발상 등 변화하는 시대에 적응하지 못해서 도태된 기업의 예시와


    발빠르게 변화해서 시장의 선도기업이 된 예를 찾기 시작했다.


    당시 발표준비를 하는데  우리팀의 멘토분은 LG디플,LG카드 등등 LG계열사에서 인사부장으로 계시다가 현재는 대학생 취업컨설팅을 하시는 분이었는데,


    시장선도기업의 예시에서 삼성의 공격적인 반도체 투자를 이야기 해주셔서 거기에 대해서 찾기 시작했는데 많은 지식을 알 수 있었다.


    당시 삼성이 반도체 분야에 진출하려고 할 때, 이미 시장은 일본과 대만, 미국 기업에 의해서 포화상태가 된 치킨게임의 레드오션이었다.


    특히 경제 위기 상황에서 레드오션에 대한 투자는 망하는 길이라고 다들 만류하고, 시장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선도기업들도 현재 상태 유지를 하기 위해 긴축재정을 유지할때,

    삼성은 반도체 부문에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했다.


    삼성은 반도체 생산설비를 대규모 증설했고, 이 후 시장의 호황기가 찾아왔을때, 기존 선도기업들은 시장의 엄청난 수요를 뒷받침하기위해 이제서야 부랴부랴 설비투자를 시작했지만,

    삼성은 대규모 생산능력을바탕으로 시장의 선두기업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었다.


    그리고 현재 대만과 일본 미국의 대부분의 기업들이 인수합병되거나 워크아웃되고


    현재 D램 반도체 분야의 세계 3개 기업의 치킨게임인데


    그것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그리고 미국의 마이크론이다.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아, 세계의 램,메모리 분야에서 2위기업이 바로SK하이닉스다.


    근데, 주가를 보라 2만원짜리다.


    삼성은 140만원짜린데, 물론 삼성은 다른 휴대폰,가전 등을 같이 하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불가하지만


    세계 2위 기업에게 2만원의 대우는 너무 하지 않은가?


    그래서 샀다


    요즘 신문에서 하이닉스 때문에 막 떠들어댄다.


    실적이 좋다고. 당연히 좋을수밖에,,..


    경쟁자가 삼성이랑 마이크론 밖에 없는데


    뭐 여하튼 하이닉스가 더 선방해서


    D램분야의 1위기업이 되길 기원한다 왜냐 내가 주주니깐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